습관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질문 습관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질문 이 행동을 자주 했는가? 자동적으로 했는가? 의식적으로 기억ㅎ라지 않고 해동했는가? 하지 않으면 이상한가? 내 일상생활에 속해졌는가? 하고 있는지도 몰랐는데 하고 있었는가? 해야 하는데 생가갈 필요가 있는가? 습관을 형성하는데 평균 66일의 반복이 습관을 만든다. 구역이나 내용을 나누어서 주별(혹은 일별)로 나누어서 한다. 빌게이츠의 습관은 다른사람의 좋은 습관을 내 습관으로 만든다. etc/생활 2011.02.28
u-City 문) u-City 답) 정의 정보통신과 건설의 융합모델로 첨단 IT기술을 바탕으로 도시의 효율적 관리 및 시민이 필요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제공할 기본을 갖춘 도시를 말한다. 공정 모델 * u-City 서비스 활성화방안 정리 개념 및 배경 도시경쟁력강화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유비쿼터스도시건설 기술을 이용해 건설된 도시의 기반시설을 이용 유비쿼터스도시 서비스를 제공. 현황 City 형 도시전체에 기반시설을 조성하고 이를 이용해 u-서비스를 제공. 정부 및 공공기관 중심의 사업. Town 형 일부 개발된 기반시설 또는 건축무을 통해 u-서비스를 제공. 민간개발자 및 재개발/재건축 조합 중심의 사업. u-City 사업 주체인 LH공사가 재무구조 악화를 이유로 사업중단을 검토중(2010년 12월 현재). 1.. pe 2011.02.22
Tim O'Reill가 주장한 Web2.0의 7가지 원칙은 무엇인가? Web 2.0이란 무엇인가 : 다음 세대 소프트웨어를 위한 디자인 패턴 및 비즈니스 모델 The Web as Platform - 플랫폼으로서의 웹 Harnessing Collective Intelligence - 집단지능으로 힘을 모은다. Data is the Next Intel Inside - 다음 인텔 인사이드는 데이터 End of the Software Release Cycle - 소프트웨어 릴리스 주기의 종말 Lightweight Programming Models - 가벼운(Lightweight) 프로그래밍 모델 Software Above the Level of a Single Device - 단일 디바이스를 넘어선 소프트웨어 Rich User Experiences - 풍부한 사용자 경험 From.. pe 2011.02.21
SDLC 모델 - 폭포수(watefall), Prototyping(PoC, Pilot), 나선형(Spiral), 반복&점진적(iterative&incremental)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모델 문) 폭포수(watefall) 모델 답) 정의 소프트웨어 생명주기(SDLC)에 기반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기법중 하나로 개념정립부터 구현까지 높은 추상화에서 낮은 추상화 단계로 하양힉 접근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각 단계는 끝날때마다 과정의 끝을 알리고 그 다음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진행단계 장/단점 진행과정을 세분화하여 관리가 용이하다. 개발단계가 겹쳐서 각 진행단계에 문제가 발생시 그 이전단계로 피드백이 되는경우가 발생한다. 개발단계마다 대부분 순환이 발생되어 순차 흐름을 따라가기 힘들다. 고객요구를 개발초기에 구체화하기 어렵다. 시스템이 개발완료되는 시점에야 완성이 가능하다. 문) 프로토타입(Prototyping) 모델 답) 정의 불완전한 요구사항 분석에 대한 해결책으로 간.. pe 2011.02.21
Object, Class, Inheritance(상속), concealment(은닉), polymorphism(다형성), encapsulation(캡슐화) - 20110224 문) Object, Class, Inheritance(상속), concealment(은닉), polymorphism(다형성), encapsulation(캡슐화) Object 객체 - 구글 사전 객체 - 위키백과 객체 - 구글 한국어 사전 객체 - 텀즈 클래스로 이루어져 규정되어 구현된 결과(인스턴스). 저장공간에 할당된 공간과 값을 의미한다. 실세계에서 어떤사람이 집에서 살기를 원할때 그 집의 청사진이나 축소모형 따위는 필요없고, 필요한것은 설계에 맞는 집이다. 이 유추에서 청사진을 클래스, 실제집은 객체이다. Class 클래스 - 텀즈 클래스 - 구글 사전 공통성질을 가진 종류의 집합.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객체내에 있는 메소드와 변수를 정의하는 틀. 클래스는 전부 혹은 일부를 그 클래스 특성으로부터.. pe 2011.02.21
컴포넌트(Component)와 서비스(Service) - 20110224 컴포넌트(Component)와 서비스(Service) 컴포넌트 terms : 컴포넌트 범정부 서비스 컴포넌트 참조모델 v2.0 컴포넌트 재사용을 지원하는 컴포넌트 모델 및 프레임워크 컴포넌트 상호작용 명세기법 컴포넌트의 다면성과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재사용 모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개발 명세 표준, 컴포넌트 개발, 사용, 발주 및 검수를 위한 기준제공 비밀성 서비스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무결성 서비스 컴포넌트 인터페이스 서비스 영역, 서비스 타입 및 서비스 컴포넌트의 계층 구조 더 큰 프로그램이나 구조물에서 식별 가능한 "일 부분". 특정 기능이나 관련된 기능들의 조합을 제공. 프로그래밍 설계에서, 시스템은 모듈로 구성된 컴포넌트로 나뉜다. 서비스 물질적 재화 이외의 모든 생산과 소비에 관련한 경제활동 .. pe 2011.02.21
플랫폼,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 20110218 플랫폼 텀즈 : platform : 플랫폼 위키백과 : 컴퓨팅 플랫폼 e-Words : 플랫폼 - 하나의 플랫폼은 소프트웨어인 운영체제와 컴퓨터시스템의 보조 프로그램 그리고 하드웨어인 마이크로 프로세스와, 마이크로 칩으로 구성된다. 아키텍처 [텀즈] architecture ; 아키텍처 네이버 용어사전 : 아키텍처 [ Architecture ], 아키텍처 [architecture], 컴퓨터아키텍처 [ computer architecture ] Younghoe.Info v3 : 아키텍처(Architecture)의 평가 기준 [PPT] 정보기술 아키텍처의 구축에 관한 연구 PHOTO GALLAY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강의자료 네이트 지식인 : pipeline and pipelining; 파이프라인, arch.. pe 2011.02.13
정보공학방법론 -Report 20110218 정보공학방법론 소프트웨어 공학 정보공학 방법론 개발방법론과 정보공학 [PPT] 정보공학방법론(Information Engineering).ppt - 정보전략계획 수립 정보공학 방법론을 이용한 Web2.0기반 기상자원 지리정보시스템 설계 SE_개발방법론_정보공학 방법론 정보공학개요 https://www.sugarsync.com/pf/D897248_195322_75969 정보공학과 CASE https://www.sugarsync.com/pf/D897248_195322_75993 정보공학과 데이터모델링 https://www.sugarsync.com/pf/D897248_195322_75902 정보공학과 프로세스모델링 https://www.sugarsync.com/pf/D897248_195322_75907 정보.. pe 2011.02.13
ISO 표준안 List Up - 20110218 ISO 표준안 List Up 텀즈 :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국제표준화기구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http://www.iso.org/ 한국표준협회 http://www.ksa.or.kr/ 한국정보화진흥원 위킴백과 : ISO 목록 ISO Information Technology Standards IT 관련 ISO 표준 목록 IT ISO 표준목록 ISO 15288 Systems Engineering - System Life Cycle Processes-First Edition ISO 14496-4 AMD 19 Information technology Coding of audi.. pe/standard 2011.02.13
정부고시 제안서 평가기준 관련 자료 - 20110218 2월 11일 공고. 출처 : http://www.nia.or.kr 전자정부서비스 호환성 준수 지침, 행안부고시 2010-40, 정보시스템 구축운영 기술 지침, 행안부 고시 2009-62, 행정정보데이터 표준화 지침, 행안부 고시 2008-47, 전자정부 웹 호환성 준수지침, 행안부 고시 2009-185,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KICS.DT-10.0003/R1 기술성 평가 기준 - 44 ~ 45p 전자정부사업 관리 지침 - 93p pe 2011.02.13